분류 전체보기 656

[정보][OS][스케줄링] 2017-B-14 MFQ

프로세스 P2의 최초 시작 시각과 최종 종료 시각을 쓰고, Q3에서 종료되는 프로세스 2개를 종료되는 순서대로 쓰시오. 프로세스 P2의 최초 시작 시각과 최종 종료 시각 : 2, 16 Q3에서 종료되는 프로세스 2개 종료되는 순서 : P1, P4 그림을 그리는 것이 제일 좋다. 천천히 풀었고 문제 풀이에 문제가 없었다. MFQ는 그림을 잘 그리자.

[정보][OS][임계구역] 2017-A-07 임계 구역

임계 구역의 개념과 조건을 물어보는 문제이다. 상호 배제와 제한된 대기는 알겠는데 진행(Progress)는 단어만 보면 암기하기 어려운 것이기도하다 무슨 진행인지 햇갈릴때도 있다. SKJ 샘이 말한 화장실을 잘 떠올리면 쉽다. 상호 배제 : 화장실(임계구역)에는 둘이 들어갈 수 없다. 진행 : 화장실(임계구역)에는 한명이 나가면 대기 하던 한명이 들어간다. 제한된 대기 : 화장실(임계구역) 안에서는 계속 대기 할 수가 없다. ㉠ 임계 구역 (Critical Section) ㉡ 상호 배제 (Mutual Exclusion)

[정보][OS][가상메모리] 2018-B-04 요구 페이징

◦ 현재 상태로부터 프로세스 A가 실행되면서 가상(논리) 주소 5156, 4096을 차례대로 참조할 경우 (1) 각각의 참조에 대해 페이지 폴트 발생 여부를 순서대로 쓸 것. 발생, 발생하지 않음 (2) 이들이 사상(mapping)되는 물리 주소를 순서대로 쓸 것. 5156 = V(5, 36) -> Page fault = (4, 36) = 4096+36 = 4132 4096 = V(4, 0) -> 적중 -> (2, 0) = 2048 맞았습니다.ㅋ 확실히 작년보다는 많이 좋아졌습니다.

[정보][OS][프로세스 스케줄링] 2019-A-05 프로세스 스케줄링 SPN

(1) 가장 빨리 종료되는 프로세스의 이름과 가장 늦게 종료되는 프로세스의 이름을 순서대로 쓸 것. 가장 빨리 종료되는 프로세스 : A 가장 늦게 종료되는 프로세스 : C (2) 시점 0부터 프로세스 A, B, C가 모두 종료될 때까지 CPU의 총 유휴시간(idle time)과 프로세스 C가 CPU 할당을 대기하는 총 시간을 순서대로 쓸 것. CPU의 총 유휴시간 : 1ms 프로세스 C의 CPU 할당 대기 시간 : 15ms 대출 풀다가 첫번째 잘못 풀고 있다는 것이 문제를 읽다가 발견, 다시 풀었는데, 프로세스 C의 대기 시간은 틀렸다. C의 대기 시간은 13ms의 시작 시간 전까지 (13-1) + 중간에 입출력 시간 2ms를 빼고, 나머지 3ms 대기 총 15msec CPU의 idle time은 18-..

[정보][OS][가상메모리] 2019-A-03 가상메모리 관리

(1) ㉠, ㉡에 해당하는 값을 순서대로 쓸 것. ㉠ 실제주소 시작 번지 + offset (3200) = 8196+3200 = 11396 ㉡ 디스크 안에서 프로그램은 가상주소와 같은 값을 갖는다. 3200 (2) (다)에서 x가 포함된 페이지의 번호와 x가 저장된 물리 메모리의 주소를 순서대로 쓸 것. 가상주소는 (페이지 번호와, 오프셋), 오프셋이 10bit라는 의미는 2^10 = 1024 3200/1024 = V(3, 128) = P(6, 128) = 6272 페이지 번호 : 3 물리 메모리 주소 : 6272 한번에 풀지 못했다. 문제를 찬찮 훑어 봐야할 것이다.

[정보][OS][가상기억장치] 2020-B-08 요구 페이징, LRU

1) 참조시점 6에서 Pa가 페이지 a5를 참조할 때 페이지 교체가 이루어진다. 이때 a5와 교체되는 페이지를 쓰고, 그 이유를 서술할 것. a2 : 가장 오랫동안 참조 되지 않았기 때문 2) Pa와 Pb가 (가)의 상태에서 (나)와 같은 순서로 페이지 참조를 하는 동안 발생한 Pa의 페이지 폴트 횟수와 Pb의 페이지 폴트 횟수를 순서대로 쓸 것. (단, 에서 설명하지 않은 페이지 폴트는 고려하지 않음.) Pa의 페이지 폴트 횟수 : 3회(6, 8, 9) Pb의 페이지 폴트 횟수 : 1회(11)

[정보][DB][트랜잭션] 2020-B-09 트랜잭션

트랜잭션 문제를 하나 빼먹었네요. ㄷㄷㄷㄷㄷㄷ 일단 문제를 읽어보았는데, 막 눈에 바로 들어오는 문제는 아니네요. 1) 트랜잭션 T1과 T2가 스케줄 s의 순서로 실행되었을 때, 스케줄 s의 회복 가능 여부를 쓰고, 그 이유를 서술할 것. (단, 스케줄 s 이전에 실행한 트랜잭션들은 모두 종료되었다고 가정함.)s : r1(x) r2(x) w2(y, 60) r2(z) w1(x, 30) w2(z, 90) c2 c1 회복(recovery) 가능한 스케줄이란 어떤 트랜잭션 T가 읽은 데이터 x에 대해, 읽기 연산 이전에 데이터 x에 쓰기 연산을 수행한 모든 트랜잭션들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T가 완료되지 않은 스케줄을 의미한다.스케쥴 S를 설명하면,s :r1(x) T1에서 x를 읽음r2(x) T2에서 x를 읽음w2..

[정보][OS][프로세스] 2020-A-10 프로세스

작년에 풀었었는데, 기억으로는 산수문제 였던듯. 1) (가)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에서 우선순위(Pr) 값이 가장 큰 프로세스가 항상 ‘다음 실행 프로세스’로 선택되는지 여부를 쓰고, 그 이유를 서술할 것. 아니오, Vrt가 가장 작은 프로세스를 우선실행, Rt값도 영향이 있음. 2) (가)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따라 (나)의 ㉠, ㉡, ㉢에 들어갈 값과 선택된 ‘다음 실행 프로세스’의 프로세스ID를 순서대로 쓸 것. ㉠ : 200 ㉡ : 150 ㉢ : 100 P4->P1->p3->p2 앗뜨뜨... 실수는 역시 조심. 쉬운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