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78

[교육심리] 성취동기, 성취목표 지향이론

성취 동기는 도전적이고 어려운 과업을 훌륭이 성취하고 싶어 하며, 성취결과보다 성취 과정에서 만족을 얻어려는 내적 욕구를 말한다.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은 성취결과를 그들의 최종목표로 생각하지 않고 성공의 수단 또는 과정으로 생각한다. 성취 목표 지향이론 성취목표는 학습자가 과제에 참여하는 이유에 관한 학습자의 지각에 초점을 맞춘 이론 구분 중점 활용된 표준 숙달 접근 과제에 대해 내적으로 숙달, 학습, 이해등을 추구 자기 도전과 향상, 이전보다 진보하거나 깊이 있는 이해하는 과제 개입형 회피 과제를 숙달시키지 못하는 것을 회피 흔히 완벽주의자처럼 실수 또는 틀리지 않으려는 태도 수행 접근 남과의 경쟁에서 이기며, 더 우수하다고 인정받아 최고가 되는 것을 추구 자아 개입형으로 규준 측면에서 최고의 성적을 ..

백업/교육학 2020.04.05

[교육심리] 귀인이론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이나 실패에 대하여 자신의 행동으로부터 원인을 찾아내어 귀속시키는 경향 와이너(Weiner), 원래는 하이더의 이론. 내외적 (소재) 안정성 통제 가능성 --> 능력, 노력, 운, 과제 결국은 노력가능한 영역을 하이더 내부 귀인: 내적인 요소(기질, 성격 특성, 태도)등에서 귀인하는 것 외부 귀인: 상황적 요소(외부압력, 사회적 규범, 우연한 기회 등)에 귀인하는 것 그래서 와이너의 이론으로 정리가 되었음. 차원 소재(내외적 요소) : 원인이 학생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 안정성 : 항상성이 있는지 시간/상황에 따라 변하는지? 통제성 : 학생의 의지로 변화시킬 수 있느냐, 없느냐? 차원|요소 능력 노력 운 과제 소재(내외) 내부 내부 외부 외부 안정성 O X X O 통제성 X O..

백업/교육학 2020.04.05

[교육심리] 자기 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

위키는 내용이 좀 많고, 책의 내용도 만만치 않네. 자기 결정성 이론은 인간이 자율적이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고 보는 이론으로 자율성이 키워드가 된다. 자기 효능감에서 성공경험, 대리경험, 사회적 설득, 각성의 키워드를 뽑아서 연결을 하듯이 유능감, 자율성, 관계성의 키워드를 뽑아야한다. 유능감 관계성 : 상호작용, 협력학습 자율성(통제감) : 선택->수행 이정도의 키워드를 가지고 맥락을 연결 해 보도록한다. 자기결정 이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기결정이론(自起決定理論, Self-determination theory, SDT)은 에드워드 데시(Edward Deci, 1942년~)와 리차드 라이언(Richard Ryan, 1953년~)이 1975년 개인들이 어..

백업/교육학 2020.04.04

[교육심리] 자기효능감(self efficiency) - 반두라

아래는 읽기 좋게 잘 정리된 글. [심리학] 자기 효능감을 증가시키는 네 가지 방법 자기 효능감(self-efficacy)은 저명한 캐나다의 심리학자인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가 주장한 개념으로써 어떤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판단이나 평가를 의미합니다. 자존감(self-esteem)과 혼동될 수 있지만, 자존감은 자신을 존중하는 것으로써 자기 효능감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자기 효능감을 증가시킬 수 brunch.co.kr 자기 효능감이란, 자신에게 주어지 과제를 성공 시킬수 있다는 신념이나 기대를 말한다. 자존감이랑은 좀 다른 개념인데, 성공기대감이라고 하면 좋겠다. 자기 효능감이라는 주제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면, 어떻게 그것을 증가(향상) 시킬수 있는가에 대한..

백업/교육학 2020.04.04

[교육심리]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위계이론

간단하게 아래 위키 참조, 매슬로의 욕구단계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슬로의 욕구단계설(Maslow's hierarchy of needs)은 인간의 욕구가 그 중요도별로 단계 일련을 형성한다는 동기 이론 일종이다. 하나의 욕구가 충족되면 위계상 다음 단계에 있는 다른 욕구가 나타나서 그 충족을 요구하는 식으로 체계를 이룬다. 가장 먼저 요구되는 욕구는 다음 단계에서 달성하려는 욕구보다 강하고 그 욕구가 만족되었을 때만 다음 단계의 욕구로 전이된다. 욕구의 단계[편집] 매슬로의 욕구 단계 ko.wikipedia.org 생리, 안전, 소속, 존경 : 결핍욕구 자아실현 - 성장 욕구

백업/교육학 2020.04.04

[교육심리] 예상 영역

2020 예상 영역이었다는... 근접 추론 1. 지능이론(기출) vs 전이, 정보처리 2. 동기이론(기출) vs 동기이론 유형 3. 자아정체감(기출) vs 인지발달과 자아중심성 및 도덕성 발달 4. 사회인지학습(기출) vs 행동주의, 게슈탈트 확산 추론 1. 지능이론 : 현대 지능론 -> 정보처리 -> 전이이론 -> 도덕성 발달 -> 교수학습(가네, 라이겔루스, 켈러) 2. 동기발달 : 인지적 동기론 -> 교수학습에서 켈러의 ARCS, 행적학에서 조직동기론 연관 3. 인지발달 : 피아제 ->지식론(브루너의 표상방식과 데일의 경험의 원추). 오수벨의 동화(포섭) 4. 도덕성 및 창의성, 진로발달, 조망수용이론 등. 5. 인지양식 및 형태주의 이론(통찰), 행동주의(고전 및 조작) 및 구성주의 학습(인지적 ..

백업/교육학 2020.04.04

[교육심리] 비고츠키(Vygotsky)의 인지발달 이론

비고츠키 발달: 사회, 문화 맥락의 상호작용적 학습이 내부 발달을 촉진 교육: 자신보다 앞선 존재에 의한 상호작용적 교육을 강조 ZPD(근접발달영역) : 잠재적 수준의 새로운 자극은 기존 실제적 발달 수준에 근접하여 제공 도움의 조절(fading) : fade out = scaffolding 비계(scaffolding) : modeling -> coaching -> self-instruction(내재화) 비고츠키의 인지 발달 이론은 사회적 구성주의라고도 한다. 피아제는 개인적 구성주의라 한다. 둘의 차이는, 같은 구성 주의 내에서도 피아제는 개인의 발달을 전제로 한 학습을 이야기 하였으며, 비고츠키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ZPD(근접발달영역) 마법의 중간지대, 자신..

백업/교육학 2020.04.04

[교육심리]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피아제의 인지 발달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지 발달론(認知發達理論,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은 인간의 인지 발달을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파악한 피아제의 이론이며, 심리학의 인지이론에 있어서 영향력 있는 이론이다. 피아제는 심리학자이면서 생물학자였다. 따라서 그의 이론은 생물학과 인식론에 그 뿌리를 두게 되는데, 여기서 인식론은 인간이 발생학적으로 인식하는 존재로 타고난다는 것이다. 인지 발달론 또한 생물학과 인식론에 그 ko.wikipedia.org 음... 피아제는 쓸것이 많은데, 압축해서 강조점을 기술해보자. 비고츠키(Vygotsky)와 같이 언급이 많이 되는데 가장 큰 자이점은 피아제 : 발달에 따른 학습 (..

백업/교육학 2020.04.04

[교육심리] 엘킨드 - 청소년의 자아 중심성

개인적 우화와 상상적 청중 그리고 중2병 엘킨드(D.Elkind)는 청소년기의 사고유형을 ‘비평과 오류의 발견’ 그리고 ‘자아중심적 사고’로 규정... blog.naver.com 청소년의 자아중심성 - 엘킨드(Elkind) 개인적 우화 - 자기 경험만이 독특하다고 생각 [과다분리] 상상의 청중 - 자기 행동이 타인의 주목을 받고 있다는 자기 중심성 [과소분리] 개인적 우화와 상상의 청중에 대해서 기억을 해두자.

백업/교육학 2020.04.04

[교육심리] 도덕성 발달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 옷 정리가 잘되어 있음. [교육심리] Piaget(피아제) 도덕성 발달이론 안녕하세요? 톡톡박사에요^^ 오늘은 Piaget의 도덕성 발달이론에 대해서 얘기를 나눠볼까 하는데요 그 전... blog.naver.com 학령 전 것은 넘어가고 사실적(타율적) 단계 (6~10) : 결과 -> 현상, 결과를 가지고 현상의 도덕성을 판단, ex)엄마를 돕다가 컵 15개를 깨뜨린 아이가 쨈을 훔쳐 먹다가 1개 깨뜨린 아이보다 나쁘다고 판단 상대적(자율적) 단계 (10세 이후) : 과정 -> 의도, 의도에 따른 과정을 보고 도덕성을 판단.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콜버그의 도덕 발달 단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콜버그의 도덕 발달 단계(Kohlber..

백업/교육학 2020.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