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는 내용이 좀 많고, 책의 내용도 만만치 않네.
자기 결정성 이론은 인간이 자율적이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고 보는 이론으로 자율성이 키워드가 된다.
자기 효능감에서 성공경험, 대리경험, 사회적 설득, 각성의 키워드를 뽑아서 연결을 하듯이 유능감, 자율성, 관계성의 키워드를 뽑아야한다.
유능감
관계성 : 상호작용, 협력학습
자율성(통제감) : 선택->수행
이정도의 키워드를 가지고 맥락을 연결 해 보도록한다.
자기결정 이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기결정이론(自起決定理論, Self-determination theory, SDT)은 에드워드 데시(Edward Deci, 1942년~)와 리차드 라이언(Richard Ryan, 1953년~)이 1975년 개인들이 어떤 활동을 내재적인 이유와 외재적인 이유에 의해 참여하게 되었을 때 발생하는 결과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타남을 바탕으로 수립한 이론을 일컫는다.[1] 에드워드 데시와 리차드 라이언이 발표한 자기결정성 이론은
ko.wikipedia.org
동기부여⑤ Deci & Ryan의 자기결정성 이론
자기결정성 이론은 인간이 자율적이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고 보는 이론으로'자율성'이 핵심이 됩니다.인간...
blog.naver.com
'백업 >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심리] 성취동기, 성취목표 지향이론 (0) | 2020.04.05 |
---|---|
[교육심리] 귀인이론 (0) | 2020.04.05 |
[교육심리] 자기효능감(self efficiency) - 반두라 (0) | 2020.04.04 |
[교육심리]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위계이론 (0) | 2020.04.04 |
[교육심리] 예상 영역 (0) | 2020.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