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고츠키
발달: 사회, 문화 맥락의 상호작용적 학습이 내부 발달을 촉진
교육: 자신보다 앞선 존재에 의한 상호작용적 교육을 강조
ZPD(근접발달영역) : 잠재적 수준의 새로운 자극은 기존 실제적 발달 수준에 근접하여 제공
도움의 조절(fading) : fade out = scaffolding
비계(scaffolding) : modeling -> coaching -> self-instruction(내재화)
비고츠키의 인지 발달 이론은 사회적 구성주의라고도 한다. 피아제는 개인적 구성주의라 한다.
둘의 차이는, 같은 구성 주의 내에서도 피아제는 개인의 발달을 전제로 한 학습을 이야기 하였으며,
비고츠키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ZPD(근접발달영역)
마법의 중간지대, 자신이 스스로 과제를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인 실제 발달수준고 도움을 받아야 수행할 수 있는 잠재발달 수준 사이의 영역
근접 발달 영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근접발달영역(러시아어: зона ближайшего развития, 영어: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은 레프 비고츠키가 제시한 아동의 인지발달 이론이다. 곧 아동이 스스로 도달할 수 있는 능력과 주변의 도움을 받아 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구분하여, 아동이 새로운 미지 영역의 추가적인 인지발달을 이루기 위해서는 근접발달영역 안에서 정교한 교수활동이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정신 발달 수
ko.wikipedia.org
ZPD 교수적 지침
1. 진단: 학슴잠재력 평가로 ZPD 파악
2. 교육내용 설정 : 실제 발달 수준보다 앞선 과제를 설정
3. 학습방법(조직) : 협동학습
4. 상호작용 : 교수적 대화
5. 학습 발판 제공 : 비계(scaffolding)
오옷, 아래 정리가 잘되어 있다. 참고할 것.
교육심리 - 1.2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
2.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2.1 비고츠키Vygotsky 인지발달이론의 기본 관점 (2권 179쪽) (1) 인지발달의 의의 ① 인지발달의 개념: 문화적 맥락 속에서 성인 또는 앞선 동료와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논..
leeza.tistory.com
'백업 >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심리]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위계이론 (0) | 2020.04.04 |
---|---|
[교육심리] 예상 영역 (0) | 2020.04.04 |
[교육심리]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0) | 2020.04.04 |
[교육심리] 엘킨드 - 청소년의 자아 중심성 (0) | 2020.04.04 |
[교육심리] 도덕성 발달 (0) | 2020.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