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직렬가능한지에 대한 정의가 서술 되어 있다. (1) T2가 T1과 동시 처리되면서 연산 ⓑ는 구간 ㉠에서, 연산 ⓒ는 구간 ㉢에서 수행될 때, T1과 T2에 대한 스케줄이 ‘직 렬 가능’한지 여부를 쓸 것. ⓑ read(Y) 구간 ㉠은 read(Y)와 write(Y) 사이의 구간이다. 읽어 들인 Y값의 변화는 없다. ⓒ read(Z) 구간 ㉢은 read(Z)와 write(Z)사이의 구간이다. 읽어 들인 Z값의 변화는 없다. 직렬가능하다. (2) T2가 T1과 동시 처리되면서 연산 ⓑ는 구간 ㉡에서, 연산 ⓒ는 구간 ㉢에서 수행될 때, T1과 T2에 대한 스케줄이 ‘직 렬 가능’한지 여부를 쓸 것. ⓑ read(Y) 구간 ㉡은 write(Y)와 read(Z) 사이의 구간이다. Y의 값이 이미 Y:=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