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철학] 노장사상 1/3 - 시대적 배경 및 노장의 생애

Unknown9 2020. 10. 27. 15:19
반응형

 

  1. 시대적 배경 및 노장의 생애
  2. 도가 사상의 핵심 개념
  3. 도가의 교육 사상

예전에 발표자료를 한번 만들었는데, 노장사상에 대해서 발표를 하는 것이라 책을 몇권 읽었는지 기억이 안날 정도로 많이 읽었었다. 동양철학에 관심도 많은데다가, 노자/장자는 매력적인 사상가였던 것 같다. 요즘 시대에는 반드시 재평가되어야할 사상가이며 도올 선생의 책이나 강좌에서 자료를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전체 강의를 한번 다 들었는데, 정말 귀가 뻥 트이는 강좌였다.

 

노장 사상을 정리하다가 아래와 같은 표를 정리했었다.

노자 장자에 관한 연대기는 아래와 같은 표로 정리를 할 수 있겠다.

결국은 나중에 발견된 판본 위주로 다시 정리를 해야하는데, 판본에 따라 다른 이야기들이 일부 있어서 또는 주석을 달아 놓은 사람의 의견에 따라서 내용의 변화가 있는 것이다.

시대에 따라서 해석이 또한 달라지고, 나중에 당나라 시절에는 숭상이 되기도 하였으니, 시대적 배경을 잘 아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작년 가을에 수업을 들으면서 정말 열심히 공부를 했었다.

 

춘추전국시대

노자는 누구인가?

 

 

생몰에 대한 정확한 자료는 없고, 특정 인물을 지칭하는지에 대해서도 불분명한 것이 많다.”

노자(老子)는 초나라 고현 여향 곡인리 사람으로 성은 이씨, 이름은 이, 자는 백양, 시호는 담이다. 그는 주나라의 장서를 관리하는 사관이었다. ... 노자는 도덕경 상,하편을 지어 도道와 덕德의 의미를 5000여자로 말하고 떠나갔다. …” ,

-사마천의 사기 노자-한비 열전 중 [1]

 

노자(老子)에 대한 가설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 하고자 한다.

"아마도 사실은 노자(老子)란 본시 가명 이었을 것이다. ''란 성이 아니고 다만 형용사로서 '늙은'의 뜻이다. 왜냐하면 그 당시 저술의 습관에 의하면 <도덕경>의 작자는 반드시 고인(古人)일 것 이라고 가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그 책을 쓸 적에는 반드시 노인 이었으리라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 The Way of Life - Lao Tzu, R.B. Blakney [2]

 

 

 

 

노자(책)의 구성

  • 왕필본 (통용본)
    • 위나라 왕필(226~249) 주석,  삼국시대 말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
    • 모두 81장이나 후대에 상편의 도경과 하편의 덕경으로 후대에 분장 추정
    • 천년 이상 동서양 도덕경 이해의 근간이 됨
  • 하상공본(河上公本)
    • 한 문제(B.C. 179 ~ 157) 시대의 하상공이 주석
    • 현존하는 하상공본은 육조(六朝) 무렵(229~589)으로 추정
    • 상경 37, 하경 44장 도합 81장으로 구성
    • 당나라 시대까지 많이 읽혀지던 판본
  • 마왕퇴본(백서본) – BC168 년 추정
    • 197312월 중국 장사 마왕퇴, 한나라 초기 묘지 발굴 중 3호묘
    • 백서 “노자” 갑본 / 을본 발굴
    • 왕필본과 거의 동일
  • 곽점본(죽간본)
    • BC300년 추정
    • 993년 겨울, 중국 호북성 형문시 사양구 사방향 곽점촌에서 출토
    • 존 판본의 40% 수준으로 이루어져 있음.

왕필은 누구인가?

 

그런 채옹도 하루는 왕찬이 문밖에 와 있다는 말을 듣고는 신발까지 거꾸로 신고 나가 그를 영접하였다.  <倒屣迎之(도사영지)>
모두들 그를 보자 왕찬의 나이 불과
15,6세에 불과한 소년이오 신체 또한 약소해 보잘 것 없어 보이는 아이였다. 모두들 놀라는데  채옹이 말했다. "이 아이는  뛰어난 재주와 학식을 가지고 있으며, 나도 그보다 못하오. 그러니 우리 집에 있는 장서를 모두 그에게 주어야겠소." 라고 했다.”

왕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관리이자 사상가이다. 자는 보사(輔嗣)이다당시 유명한 천재로 알려졌으며, 이를 들은 하안(何晏)이 그를 중용하고 학문에 대한 토론을 나눴다. 16~20세 사이에 노자의 도덕경주역의 주와 약례를 썼다. 그가 쓴 노자 주는 가장 긴 주가 달린 38장을 제외하면, 원문과 글자 수가 비슷할 정도로 분량이 적어서, 후대의 학자들로부터 왕필이 도덕경의 주를 단 것인지 그 반대인지 모를 정도라는 평가를 받았다. 당대 이후부터는 도덕경이라 하면 대개 왕필본을 말한다위나라의 상서랑을 지냈다. 유족으로 아내와 딸을 남기고 24세의 나이로 말라리아에 걸려 요절하였다.

 

결국 왕필본이 잘 알려져있는지라, 왕필이 누군지 알아보는 것도 필요할 것 같아서 한번 알아보았다.

 

장자는 누구인가?

“장자는 몽지방 사람으로 이름은 주이다. 그는 일찍이  몽지방의 칠원이라는 곳에서 벼슬아치 노릇을 했고 양혜왕, 제선왕과 같은 시대 사람이다. … 십여 만자에 이르는 그의 책은 대부분 우화로 이루어져 있다. 어부, 도척, 거협 편을 지어서 공자 무리를 비판하고 노자의 가르침을 밝혔다. 외루허, 항상자 같은 이야기는 모두 사실이 아니라 꾸며낸 이야기이다.”

- 사마천의 사기 노자-한비 열전 중

 

사마천의 사기를 뒤져야 장자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만큼 유명한 사람이지만, 별도로 알려진 내용이 많지 않은 익명의 사람이기도하다.

 

 

 

 

 

 

 

 

 

장자(책)의 구성

 

  • 33편이 현존하며, 내편(內編), 외편(外編), 잡편(雜編)으로 구성
    • 현존하는 장자》 33편 중, 내편 7편이 장자의 저술이며 나머지는 문하생들이 지은 것으로 추정
    • 내편
    •   7
    • 소요유(逍遙遊), 제물론(齊物論), 양생주(養生主), 인간세(人間世), 덕충부(德充符), 대종사(大宗師),  응제왕(應帝王)
  • 외편
    • 병무(騈拇) 이하 15
    • 잡편
    • 경상초(庚桑楚) 이하 11편 

조선시대의 노장

  • 도덕경(道德經) 주석서
    • 이이(李珥, 1537 ~ 1584) : 순언(醇言)
      • 중종~선조, 서인, 유학자의 입장에서 노자의 도덕경을 재편성한
      • 1974년 규장각에서 발견
    • 박세당(朴世堂, 1629~1703) :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
      • 인조~숙종, 소론, 색경(농업책), 주자학 비판, 송시열 비판으로 사문난적 제 3호로 수난
      • 서명응(徐命膺, 17161787) : 도덕지귀(道德指歸)
      • 영조~정조, 북학파의 시조, 정조 규장각의 제학(으뜸 벼슬 1)
    • 이충익(李忠翊, 1744~1816) : 담노(談老)
      • 영조~순조, 양명학, "()과 가()를 엄격히 구별하는 토대 위에서 인의(仁義)가탁하여 폭력 정치를 행사하는 당시의 집권세력을 날카롭게 비판하였다.”
    • 홍석주(洪奭周, 1774 ~ 1842) : 정노(訂老)
      • 정조~헌종, “시는 성정에 근본해서 천기에서 발현되는 것이다
      • 정조 때 발탁, 정조의 오른팔 인 홍국영의 조카뻘
  • 장자(莊子) 주석서
    • 한원진(韓元震, 1682 ~ 1751) : 장자변해(莊子辨解)
      • 노론, 영조
    • 박세당 : 남화경주해(南華經註解)

조선시대의 장자는 금서와 다름이 없었다. 대표적인 성리학자인 이이가 노자 주석서를 지었다는 것은 금기와는 다름이 없었고, 그래서 규장각에 몰라 숨겨져 오랫동안 발견이 안되었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참고 문헌

1.사기 열전 사마천, 김원중 옮김, 민음사

2.노자노자, 김학주 옮김, 을유 문화사, 2000

3.위키 피디아 - https://ko.wikipedia.org/wiki/

4.백서노자 (백서본과 곽점본·왕필본의 텍스트 비교와 해석) – 이석명 저, 청계출판사, 2003

5.장자 강의 : 혼돈의 시대에 장자를 읽다 / 전호근 지음

6.도덕경 노자, 장도연 옮김

7.내 안의 나를 깨우는 장자 내편, 장자, 최상용 옮김

8.월든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9.꿈에 나비가 된 장자의 의미는? 서상원@brunch https://brunch.co.kr/@sangwonsuh/86

10.(老子) 길과 얻음 김용옥

11.곁에 두고 읽는 장자 김태관 지음, 홍익 출판사

12.강신주의 노자 혹은 장자 (장자편) – 강신주 지음, 오월의 봄

13.장자 을유문화사, 20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