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선운의 명리터

[선운의 명리터 요약] 선운의 명리기초강좌 8/38 - 계절 이해하기 6

Unknown9 2025. 2. 9. 21:00

https://youtu.be/zfFVl0cIOsA?si=PR3D7Fr-pYF1u9jf

 

 

 

 

1. 오행의 근본적 흐름

오행(五行)의 개념을 단순히 개별 요소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흐름과 변형 과정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모든 것은 수(水)에서 출발하며, 수(水)가 상승하면 화(火)가 되고, 다시 내려오면 금(金)으로 변화합니다.

오행의 흐름과 변형 과정

  1. 수(水) → 목(木)
    • 수(水)는 생명의 근원이며, 목(木)이 태어나는 바탕이 됨.
    • 수(水)가 땅에서 흡수되면 지상으로 올라와 목(木)으로 변화함.
    • "수생목(水生木)"이라 하며, 수(水)가 없으면 목(木)이 자랄 수 없음.
  2. 목(木) → 화(火)
    • 목(木)이 성장하여 화(火)로 전환됨.
    • 즉, "목생화(木生火)"가 되어 생명이 성숙하고, 열정과 활동성이 증가함.
    • 화(火)는 사회적 활동, 경쟁, 생존 투쟁을 의미하며, 현실적으로 살아남기 위한 수단이 됨.
  3. 화(火) → 토(土)
    • 화(火)가 작용하면서 토(土)를 만들어냄.
    • 화(火)의 에너지가 안정되며, 성과나 결과물이 나타남.
    • "화생토(火生土)"라고 하며, 경제적 안정과 현실적인 결실을 의미함.
  4. 토(土) → 금(金)
    • 토(土)는 금속(금, 金)을 생성하는 역할을 함.
    • 땅이 단단해지면서 규율과 조직이 형성됨.
    • "토생금(土生金)"이라 하며, 금(金)은 성취, 결실, 자아 실현을 나타냄.
  5. 금(金) → 수(水)
    • 금속(金)이 응축되어 수(水)로 변환됨.
    • 금속이 차갑게 식으면서 새로운 생명의 씨앗(수水)이 형성됨.
    • "금생수(金生水)"라고 하며, **다시 새로운 시작(순환의 완성)**을 의미함.

2. 수(水)의 역할과 의미

수(水)의 본질

  • 생명의 시작: 모든 것은 수(水)에서 출발함.
  • 숨어 있는 에너지: 수(水)는 직접적인 활동이 아니라, 잠재력을 의미함.
  • 기다림과 축적: 수(水)는 한 번에 폭발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서서히 영향을 미침.
  • 주변을 이용하는 전략: 스스로 나서지 않고 환경을 활용하여 원하는 것을 얻음.

수(水)가 인생에 미치는 영향

  • 수(水)가 강하면 현실보다는 이상을 추구하고, 계산적이며 기회주의적 성향이 강해짐.
  • 수(水)가 부족하면 즉흥적이고 무모하며,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는 능력이 부족함.
  • 수(水)가 목(木)으로 변하면 성장과 발전을 위한 준비가 끝난 것을 의미함.

3. 화(火)의 역할과 의미

화(火)의 본질

  • 경쟁과 생존 투쟁: 화(火)는 생존을 위한 활동성이 강함.
  • 지위 상승 욕구: 화(火)는 위로 올라가려는 성질이 있으며, 항상 발전을 원함.
  • 사회적 성공과 비교: 자신을 주변과 비교하면서 더 높은 곳을 향하려는 성향이 있음.
  • 즉각적인 반응과 감정적 성향: 참을성이 부족하고, 빠른 결과를 원함.

화(火)의 주요 특징

  • 화(火)가 강하면 성공에 대한 욕망이 크며, 현실적이고 경쟁적임.
  • 화(火)가 부족하면 열정이 부족하고, 목표를 세우는 데 어려움이 있음.
  • 화(火)가 목(木)과 함께 있으면 자신을 개발하고 학습하며, 목표를 달성하려고 노력함.
  • 화(火)만 있고 수(水)가 없으면 쉬지 못하고, 끊임없이 경쟁하며 탈진하는 경향이 있음.

4. 목(木)과 화(火)의 관계

목(木) → 화(火) 변환의 중요성

  • 목(木)이 충분히 성장해야 화(火)로 변할 수 있음.
  • 목(木) 없이 화(火)만 있으면 기초 없이 불타는 격이라 쉽게 꺼짐.
  • 목(木)이 너무 많으면 준비만 하다가 실제 행동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함.

화(火)의 성장은 목(木)의 지원이 필요하다

  • 목(木)이 있어야 화(火)가 올라간다: 나무(木) 없이 불(火)이 붙지 않는 것과 같음.
  • 목(木)이 너무 많으면 준비만 하고 실행하지 못함: 공부만 하다 끝나는 경우.
  • 목(木)이 없으면 화(火)는 제자리걸음을 하게 됨: 발전하지 못하고 같은 자리에서 맴돎.

5. 금(金)의 역할과 사회적 의미

금(金)의 본질

  • 결실과 성취: 화(火)가 타오른 후 남은 것이 금(金)이며, 이는 현실적인 성취와 연관됨.
  • 자기 개발과 전문성: 금(金)은 지속적으로 자기 발전을 추구하는 성향이 강함.
  • 규칙과 규율: 사회적 질서를 형성하고, 체계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제공함.

금(金)의 영향

  • 금(金)이 많으면 논리적이고 체계적이며, 사회적 성공을 추구하는 성향이 강함.
  • 금(金)이 부족하면 목표 없이 방황하거나, 감정에 휘둘려서 현실적인 성취를 이루기 어려움.
  • 금(金)이 강하면 사회적 인정과 명성을 중요하게 생각함.

6. 사주명리학에서 오행의 역할

기본적인 해석 원칙

  1. 오행은 단순한 개념이 아니라, 서로 연결된 흐름 속에서 해석해야 한다.
  2. 태어난 계절(월지)이 개인의 성향과 삶의 방향을 결정한다.
  3. 각각의 오행은 다른 오행과의 균형 속에서 의미를 가진다.
  4. 사람의 성격과 운명은 특정 오행이 많거나 적은 것보다, 흐름과 조화를 고려해야 한다.

사주 해석 시 고려할 점

  • 목(木)의 역할: 기본적인 성장과 준비.
  • 화(火)의 역할: 사회적 성공과 경쟁.
  • 토(土)의 역할: 현실적 안정과 기반 형성.
  • 금(金)의 역할: 성취와 전문성.
  • 수(水)의 역할: 잠재력과 기획력.

7. 결론

  • 오행은 단순한 개념이 아니라, 서로 연결된 흐름 속에서 해석해야 한다.
  • 모든 것은 수(水)에서 출발하며, 상승하면 화(火)가 되고, 하강하면 금(金)이 된다.
  • 목(木)이 없으면 화(火)는 성장하지 못하고, 금(金)이 없으면 현실적 성취를 이루기 어렵다.
  • 수(水)와 화(火)의 균형이 맞지 않으면 극단적인 성향이 나타난다.
  • 사주는 개별 오행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흐름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

 

모두 듣고 공부를 한 부분이지만, 다시 요약해서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