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78

[정보][자료구조] 2019-A-03 이진 트리

㉠ : 40 ㉡ : 20 성질1. R의 왼쪽 서브트리에 있는 모든 노드의 키 값은 R의 키 값보다 작다. 성질2. R의 오른쪽 서브트리에 있는 모든 노드의 키 값은 R의 키 값보다 크다. 성질3. R의 왼쪽 서브트리와 오른쪽 서브트리 모두 (조건2)를 만족하는 트리이다. 성질을 만족하는 R=10 기준으로 왼쪽의 두개값이 모두 작아야 하므로 오른쪽 끝 노드는 제일 큰값. 50 20,30,40 중에 제일 큰값이 ㉠ : 40 아래 노드가 2개 있는데, ㉡ : 20이라야 오른쪽 차일드 노드(30) 보다 작다.

[정보][자료구조] 2020-B-10 연결 리스트

◦ ㉠, ㉡에 해당하는 코드를 순서대로 쓸 것. ㉠ start ㉡ p->link ◦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쓸 것. insert : 20000 findLast : 10000 insert : 30000 ◦ ㉢ 위치의 코드를 아래와 같이 변경한 후 실행했을 때, 연결 리스트의 마지막 노드에 저장된 학생의 학번을 쓸 것. insert (start->next, 30000); start의 위치가 다음 link인 start-next로 이동하나 그것이 findLast와 일치하므로 동일하게 30000이 최종적으로 저장이 된다. 이 문제는 여러번 풀어서 풀수 있는 문제이지 나오면 절반만 맞을 수도 있겠다.

[정보][C언어] 2020-A-09 재귀호출

◦ (가)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쓸 것. 32◦ (나) 프로그램의 main 함수에서 ax = 2, an = 10일 때 실행 결과는 10 5 2 1 0 이다. ax = 2, an = 20일 때 실행 결과를 쓸 것. 20 10 5 2 1 0◦ (가)의 A_P 함수와 (나)의 B_P 함수의 시간 복잡도를 빅-오 (Big-oh) 표기법으로 순서대로 쓸 것. (단, 빅-오 표기법의 상한은 최소 차수 함수로 표시함.)O(n) O(log2n)

[정보][자료구조] 2021-B-11 그래프

11. 다음은 등산 과정에서 정상을 향해 가는 길을 찾고자 하는 C 유사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은 평가함수를 이용하여 길을 찾는다. 을 고려하여 에 따라 서술하시오. [4점] ◦ 주어진 그래프 Gr로 알고리즘을 수행할 때 밑줄 친 ㉠의 출력 결과를 순서대로 쓸 것.◦ 주어진 그래프 Gr로 알고리즘을 수행할 때 밑줄 친 ㉠의 출력 결과 가운데 출력 시점의 평가함수 f 값이 최대인 지점과 그 값을 쓸 것. 시간내에 못푼다. 다시 나오면 다른 문제 다 풀고 손댈것 .

[정보][C언어] 2021-A-06 C언어 기출

6. 다음 C 프로그램과 을 고려하여 에 따라 서술하시오. [4점] ◦ malloc(size)는 size 개의 바이트를 저장․활용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할당하고 그 시작 주소를 리턴해 주는 라이브 러리 함수이다. ◦ malloc() 함수 호출은 항상 성공한다고 가정한다. 1) 밑줄 친 ㉠이 수행될 때 출력되는 값을 쓰고, 함수 rCount()가 리턴하는 주소가 가리키는 저장 공간에 어떤 의미의 값들이 저장되어 있는지 서술할 것. ㉠ 5 d로 나눈 나머지는 0/1/2의 3가지가 있는데 선택된 범위에서 각각의 나머지인 숫자들의 합을 구하는 것. 2) 밑줄 친 ㉡이 수행될 때 출력되는 값을 쓸 것. 4 3) 밑줄 친 ㉢이 수행될 때 출력되는 값을 쓸 것. 17 g(5)를 못봐서 12로 적음. 함정 주의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