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박시동] 중국 AI 딥시크가 미치는 파장 요약

Unknown9 2025. 2. 1. 12:09
반응형

https://www.youtube.com/live/6wWUoum-qnw?si=RQ459J_kHe1979lt

 

 

 

설 연휴 후 글로벌 주요 경제 뉴스 요약


1. 중국발 AI '딥시크(DeepSeek)' 등장과 충격

중국이 **딥시크(DeepSeek)**라는 AI 모델을 공개하면서 AI 시장에 큰 충격을 줌.

  • 딥시크의 성능:
    • 미국 오픈AI의 GPT-4, 메타의 LLaMA와 비교해도 코딩·수학 등 특정 영역에서 더 높은 점수를 기록.
    • AI 시장에서 NBA를 이긴 후발주자, 러시아의 스푸트니크 충격에 비유될 만큼 강력한 성능을 보임.
  • 저비용 개발:
    • 딥시크의 AI 훈련 비용은 약 80억 원 수준, GPT-4 대비 20분의 1 수준으로 알려짐.
    • 오픈AI는 16,000개의 고성능 엔비디아 H100 GPU를 사용한 반면, 딥시크는 2,000개의 저사양 H800 GPU로 개발.
    • 기존 AI 시장의 "고성능 칩 + 막대한 자본" 공식이 흔들리는 계기가 됨.
  • 월가의 반응:
    •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이 하루 만에 800조 원 증발, 반도체 관련 주식 급락.
    • AI 시장에서 미국 독점이 약화될 가능성으로 인해 미국 기업들 긴장.
  • 의문점 및 한계:
    • 중국이 비공식적으로 고성능 칩을 대량 수입했을 가능성 제기.
    • AI 자유도가 제한된 중국 내부 검열 체계가 글로벌 확장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음.

2. 미국 기준금리 동결과 연준(Fed)의 입장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기준금리를 동결(5.25%~5.50%), 만장일치로 결정.
  • 트럼프 압박에 대한 연준의 반응:
    • 트럼프는 강력한 금리 인하 요구 중이지만, 연준은 "현재 경제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
    • 향후 금리 인하 시점이 불확실해지면서, 최소한 상반기까지는 금리 동결 가능성 높음.
    • 시장 전망: 5월 인하 가능성 57.9%, 6월 인하 가능성 48% (혼조세).
    • 일부 분석에서는 올해 금리 인하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옴.
  •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은행은 2월 금리 인하(확실시됨), 하지만 추가 인하는 신중할 가능성 높음.
    • 미국 금리가 장기 고금리를 유지하면 한국의 금리 인하 여력이 제한됨.
    • 정부의 경기 부양 정책 및 재정 정책(추경)에 대한 압박이 커질 전망.

3. 트럼프 정부의 경제 정책 방향

  • 트럼프 행정부의 **상무부 장관 지명자(하워드 러)**가 반도체 보조금 정책 변경 가능성을 시사.
    • 삼성·SK·TSMC 등이 받은 미국 반도체 보조금 축소 혹은 철회 가능성 있음.
    • "보조금은 계약 착수금일 뿐, 앞으로 조정 가능하다"는 발언으로 한국·일본 기업들 긴장.
  • 미국 내 생산시설 이전 압박 강화:
    • 트럼프 측은 한국, 일본 등의 기업이 미국 내 생산기지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
    • "지금까지 미국을 이용해온 만큼, 앞으로 미국에 더 협조해야 한다"는 입장.
  • 한국의 대응 필요성:
    • 보조금 협상이 강한 압박 수단이 될 것으로 예상.
    • 한국 정부와 기업이 미국과의 협상을 보다 전략적으로 진행할 필요성 대두.

결론 및 시사점

  1. 중국의 AI 도전:
    • 중국이 AI 시장의 패권을 넘보기 시작했고, AI 생태계가 고비용에서 저비용 중심으로 변화 가능성.
    • 기존의 미국 독점 체계가 흔들릴 수 있으며, AI 개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
    • 한국은 AI 인프라 부족, 경쟁에서 뒤처질 위험이 커지고 있음.
  2. 미국 금리 불확실성:
    • 연준이 당분간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 높음, 한국의 추가 금리 인하에도 부담.
    • 경기 침체 속에서 정부의 추가 경기 부양책이 중요해질 것.
  3.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 강화 가능성:
    • 반도체 보조금 및 미국 내 공장 이전 요구 강화.
    • 한국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 전략적 대응을 강화해야 하는 상황.

👉 전반적으로 한국 경제는 AI, 반도체, 금리 등의 문제에서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하고 있으며,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함.

 

반응형